반응형

삼성전기 일봉

1. 좋은점 : 좋은 실적

높은 영업이익율


실적에 비해서 많이 빠진 주식입니다. 다만 요즘 장세가 실적이 좋다고 주가가 상승하진 않습니다.

최근4분기 EPS : 2022년6월분은 예상치

* 최근 4분기 EPS와 예상치를 활용하여 최근 종가기준 PER을 구해보면 

149,500 / (4,504+1,102+4,064+3,286(예상치)) = 11.53 

2. 안좋은 점 :

① 시장수급

기관과 외국인의 순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의 주목을 받고 수급이 몰려야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이 요즘 흐름이기 때문에 아직 실적에 따른 주가 상승 흐름을 받고있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보면 저평가지점이나, 시장환경이 적절하지 않아 주가가 반응하지 않는 것 처럼 보이기도합니다. 

시장의 주목을 받고 수급이 몰려야 주가가 상승
전저점은 이탈한 상태

② 신용잔고비율이 높다

아래 그래프와 함께 보세요 (신용잔고비율)

신용잔고 비율이 횡보할때 주가가 상승하다가, 높으면 주가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재 신용잔고 비율이 너무 높습니다. 

③ 좋은뉴스가 너무 많다

모두가 아는 호재


모두가 다 하는 호재는 뭐다? : 악재..

3. 시나리오를 생각해봅니다. 

1) 17만원선까지 상승 후 하락 : 매물대 차트를 보고 생각해봤습니다 (혹은 18만원까지도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 거시경제 환경 변동에 따른 시장하락 (금리변동, 물가지수) : 12만원 ~ 13만원까지 하락 후 상승

4. 나라면? 

약간 더 하락할 가능성을 높게 봅니다. 14만원대 초반 ~ 13만원대에서 조심스럽게 매수해야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파악하지 못한 요인들이 터지면 ㅡㅡ;; 손절해야겠죠.

요약

1. 좋은점 : 좋은 실적

2. 안좋은 점 :
① 시장수급
② 신용잔고비율이 높다
③ 좋은뉴스가 너무 많다

3. 시나리오를 생각해봅니다. 
① 17만원선까지 상승 후 하락
② 거시경제 환경 변동에 따른 시장하락 후 상승 (12~13만에서 상승)

4. 나라면?

 

반응형
반응형

빗썸코리아

시작하며

2021년 11월 빗썸코리아 30만원대에 매수하여 같은해 12월 60만원대에 매도하였습니다. 
금액은 크지 않았지만, 세금 제하고 한달치 월급정도 벌었습니다. 

당시 매수의 근거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6245 

 

빗썸 3분기 순이익 전년 대비 8배 증가...7684억원 기록 - 코인데스크 코리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의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818% 증가하며 7500억원을 넘어섰다. 비덴트는 17일 분기 보고서를 통해 자회사인 빗썸이 3분기 매출 7539억원, 순이익 7684억원을 기록했다고

www.coindeskkorea.com

7600억정도의 순이익에 420만주정도를 발행했기때문에 주당순이익이 18만원정도로 계산됐기 때문입니다.
매수 평균가가 36만원정도 됐으니까 PER 계산하면 대량 2정도라고 생각했기때문이지요.

항상 생각해야하는 것은, 동종업계와 비교해서 이게 싼가? 비싼가입니다. 
(마치 아파트 매수시와 비슷합니다 ; 옆 단지와 비슷한데 여기가 싼가? 비싼가?)

동종업계와 비교하여 싸다면, 시장 전체가 활황이라면 높은쪽으로 평균이 맞춰질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낮은쪽으로 비싼쪽이 낮은쪽으로 가격이 맞춰질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비교해볼만한 회사는 무엇이 있나 생각을 해본다면, 

업비트

업비트의 두나무

코인베이스

미국의 코인베이스 정도가 있겠습니다.

사업내용은 비슷하고 너무 디테일하게 비교하긴 저는 너무 어려웠으니까 단순하게 PER만 보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의 기준에서 생각해보겠습니다. 

2021년 당기순이익 기준

  빗썸코리아 두나무 COINBASE
발행주식수 (보통주) 4,235,818 34,287,740 222,016,734
2021년 당기순이익 648,360,559,033
(6483억)
2,152,950,145,000
(2조1529억원)
3,624,000,000
(36억달러)
주당순이익
(당기순이익/보통주식수)
153,066 62,790원 16.32달러
현재가(22.5.18.) 220,000원 301,000원 (비상장) 70달러
PER 1.43배 4.79배 4.28배

2022년 1분기 보고서 기준

  빗썸코리아 두나무 COINBASE
발행주식수 (보통주) 4,235,818 34,287,740 222,016,734
2022년 1분기 당기순이익 50,803,285,948
(508억)
공시전 -429,000,000
(-4억달러)
주당순이익
(당기순이익/보통주식수)
11,993원 공시전 -1.93달러
현재가(22.5.18.) 220,000원 301,000원 (비상장) 70달러
       

 

이렇게 생각했을 때 빗썸주식이 싼가?

2021년 기준으로 생각하면 굉장히 싸게 보일수도 있지만, 
최근 일어난 사태들로 인한 코인 거래량 감소 및 투심이 죽는다면 
주가는 그냥 다함께 주저앉을수도 있겠죠.

2022년이 어떻게 흐를지는 모르지만요

현재까지만 보면 작년에 비해서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다시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거래도 계속 활발하게 되고 있고요.
방향을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참 어렵군요. 실적이 안좋은데 오히려 악재가 해소가 됐다고 보는건지.

반응형
반응형

AEROMEXICO

1. 멕시코 유일의 항공사 아에로멕시코 부도 이슈로 주가 폭락 

2. 어차피 안없어질 것이라 생각하고 600만원 투자

→ 멕시코라는 국가규모와 지리적 위치를 생각함.. 

3. 멕시코 대통령이 회생시켜서 주가 폭등, 매도

인베스팅닷컴

출금만 제대로 된다면 대박이겠어요.
역시 선구안을 가진 사람은 뭘해도 저렇게 기회를 잡는군요.

 

반응형
반응형

1. 매수를 할때는 출구전략을 생각하면서 매수를 해야한다. 이론적으로 오를 자리를 찾았더라도, 이걸 언제팔지 내 상황이 어떻게 될지를 생각할 것.

2. 가격을 협상을 할때 내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를 생각하자, 부동산은 호가가 몇백만원단위이므로 협상의 여지는 많다. (장기수선충당금, 잔금일조정 ; 재산세, 등등)

3. 세금 및 비용을 잘 생각하기

4. 어차피 또 기회는 또 오므로 너무 최선으로 팔지 못했다고 해서 아쉬워 할 것 없음.

5. 다음에 더 잘해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유연탄

1. 해당 품목이 무엇인지?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C%97%B0%ED%83%84

 

무연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재 이 문서는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ko.wikipedia.org

2. 국내 수입 비중에서 러시아가 얼만큼 차지하는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1년 기준 약 16.5%

https://www.kigam.re.kr/menu.es?mid=a30102030203 

 

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www.kigam.re.kr

3. 해당품목의 국제시세가 실제로 올랐는지?

2022.3.14. 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113555

 

유연탄값 사상 최고치…순환자원 대체 '선택 아닌 필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원자재값이 급등한 가운데 유연탄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연탄은 시멘트 생산의 필수 생산원료로 사용된

www.etoday.co.kr

4. 관련 주식이 무엇이 있는지? + 2월 24일 이후로 큰 상승이 있었는지?

① 케이피에프 (인도네시아 석탄 광산 지분보유)

개전일 2.24. 대비 35% 상승 후 하락

② 넥스트BT (몽골내 석탄광산의 지분보유)

③ 아세아시멘트 (시멘트 주 포함)

6. 투자할 자리가 맞는지?

여러분들이 판단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상 생각할 것은 가격전가가 가능한 기업인가? 실제로 석탄 가격과 비슷한 가격흐름을 보여주는 기업인가? 
그렇다면 그 괴리가 있는지, 과대낙폭됐는지를 생각한다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해당 품목이 무엇인지?

→ 다 아시죠?

2. 국내 수입 비중에서 러시아가 얼만큼 차지하는지?

2022.3.7.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3/214331/

 

[단독] 러시아産 원유 비중 5%…대체물량 확보 어려워

정부, 러 에너지제재 불참 가닥 러 중앙은행과 거래중단 금융제재는 계속하기로

www.mk.co.kr

전체 원유 수입비중 중 5.6%이나, 다른 수입국에서 생산량을 늘리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에 공급해줄 수 있는 상황이 되질 못한다고 합니다. 

2022.3.10.

3. 해당품목의 국제시세가 실제로 올랐는지?


4. 관련 주식이 무엇이 있는지? + 2월 24일 이후로 큰 상승이 있었는지?

① 한국석유

22.2.4. 개전이후 큰 상승세 후 하락하는 모습

② 흥구석유

한국석유와 비슷한 모습

③ S-oil

개전이후 2번의 상승, 저가대비 약 20% 상승


6. 투자할 자리가 맞는지?

생각할 것은 ① 가격전가를 다른 기업에게 할 수있는지? / ② 증산이슈 리스크를 고려하기 입니다.

실제로 미국이 증산을 한다고 했을 때 (3월 10일) 일제히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유 가격의 흐름과 비슷한 것도 볼 수 있죠. 실제 원유 가격에 따라서 주가가 움직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괴리가 생겼다면, 그리고 그 괴리가 과대낙폭이라고 판단된다면 투자해도 되겠지만요...

반응형
반응형

https://museoblog.tistory.com/147

 

대러 수입품목과 주식투자 아이디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시작하며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습니다. 최근은 부차지역에서 대량학살이 이루어졌고, 전쟁은 예상했던 것 보다 길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으며 관련

museoblog.tistory.com

1. 해당 품목이 무엇인지?

https://www.chemi-in.com/418

 

플라스틱의 기초원료, ‘나프타(Naphtha)’란?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석유화학제품을 소개할 때 종종 ‘나프타’ 또는 ‘납사’가 언급되는데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나프타란 무엇인지

www.chemi-in.com

↑ 여기를 참고해서 보시면 됩니다. (한화토탈에너지의 블로그입니다.)

2. 국내 수입 비중에서 러시아가 얼만큼 차지하는지? 

→ 23.4%를 차지한다.


3. 해당품목의 국제시세가 실제로 올랐는지?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2/03/07/BWP53XIK4RDEHKIUEUZV4G4EUY/

 

[고유가 비상] 나프타 가격 폭등에 화학업계 “공장 중단 고민”

고유가 비상 나프타 가격 폭등에 화학업계 공장 중단 고민

biz.chosun.com

4. 관련 주식이 무엇이 있는지? + 2월 24일 이후로 큰 상승이 있었는지?

① 대한유화(006050) 

나프타 분해설비를 이용한 기초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② 롯데케미칼(01170) 

③ 한화솔루션

ㆍ2월 24일 저점대비 고점 17% 상승 (태양광 테마로 엮여서 그런 것 같습니다.)

2022.3.2.


6. 투자할 자리가 맞는지?

가격을 2차업체, 3차업체에 전가할 수 있는 기업이라면 투자할만 하다고 봅니다.. 
**아세아시멘트를 생각해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시작하며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습니다. 최근은 부차지역에서 대량학살이 이루어졌고, 전쟁은 예상했던 것 보다 길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으며 관련 주식들이 돌아가며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상한가를 뿜어버린 무림SP

본론

단순하게 생각해봅시다. 원유부터 시작해서 수산물 펄프에까지 러시아가 수출하는 품목과 관련된 주식들은 돌아가면서 오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러시아가 수출하는 품목으로 관심종목을 정리해보면 좋겠죠. 

그 유명한 현대사료


물론 여러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품목 시장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라던지, 대체재의 존재여부도 생각해야겠지만요. 어차피 미래는 알 수 없는 노릇이니 한번 정리나 해보겠습니다.

한국-러시아 수입품목 목록 (대러 수입품목)

한국무역협회

자 다음 포스팅에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예정입니다.

1. 해당 품목이 무엇인지?
2. 국내 수입 비중에서 러시아가 얼만큼 차지하는지?
3. 해당품목의 국제시세가 실제로 올랐는지?
4. 관련 주식이 무엇이 있는지?
5. 2월 24일 이후로 큰 상승이 있었는지?
6. 투자할 자리가 맞는지?

https://museoblog.tistory.com/148

 

나프타 - 대러 수입품목과 주식투자 아이디어(1)

https://museoblog.tistory.com/147 대러 수입품목과 주식투자 아이디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시작하며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습니다. 최근은 부차지역에서 대량학살이 이루어졌

museoblog.tistory.com

https://museoblog.tistory.com/149

https://museoblog.tistory.com/150

 

반응형
반응형

HMM

22년 3월 7일 12:06 당일 오전저가 이탈 후 투매발생, 과대낙폭

저점 찍고 반등

검증되야할 부분

1.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이 되는가?
2. 일봉의 흐름이 어떨 때 적용이 되는가?
3. 저점을 어떻게 봐야하는가? (언제 사야하는가?)

 22년 3월7일 

STX엔진

STX엔진 22년 3월7일 오전저가 이탈 후 다음날 오전 과대낙폭 후 상승 (매수포인트를 잡을 수 있다)

STX엔진 22년 3월3일 오전저가 이탈 후 3월4일 과대낙폭 후 상승

반응형
반응형

https://youtu.be/pyVuYd5jPzo

세정 회계법인 김리석 회계사님의 영상을 요약했습니다 (꼭 들어가서 보세요)

시작하며

일시적 2주택 비과세에 관한 내용을 김리석 회계사님의 영상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제 글은 제가 이해하고, 복기위해서 적는 내용이니 꼭 영상을 시청하세요.

1. 원칙 : 1.2.3. 법칙 

1.2.3 법칙을 기억하세요

기존주택을 취득한 후 최소 1년이 지난 뒤 신규주택을 취득
기존주택은 2년 이상 보유
3년이내 기존주택 양도를 하면 
비과세 혜택을 주는 것입니다.

기존주택을 양도해야 하며, 신규주택은 해당이 없습니다!

이것이 기본 원칙이고, 예외사항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2. 거주요건에 관련한 예외

① (2017.8.3. 이후 취득) 취득 당시에 기존주택이 조정대상지역이라면? : 반드시 거주요건 2년이 필요하다

※ 예외 : 2017.8.2. 이전에 매매계약을 체결(계약금 지급)한 주택은 거주요건이 필요없다 (계약금 지급 사실이 증빙서류에 의해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 한함)

② 취득(또는 매매계약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사실이 증빙서류에 의해 확인 가능) 당시 비조정대상지역이었다면 : 거주요건이 필요없다

3. 3년이내 기존주택 양도에 대한 예외

① 기존주택이 조정대상지역이고, 신규주택이 조정대상지역이면서 2018.9.14. 이후에 신규주택 취득(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지급) 한 경우 : 2년이내 양도 시 비과세 

※ 예외 : 기존주택이 조정대상지역이고, 신규주택이 조정대상지역이면서 2018.9.13. 이전에 취득(취득할수있는 권리를 포함 : 입주권)한 경우 혹은 매매계약을 체결 및 계약금을 지급한 경우 : 3년이내 양도 시 비과세

예시를 생각해봅시다

ⓐ. 요건 : 주택a의 취득일 2017.10.20. / 주택 b의 취득일 2018.11.10. 따라서 기존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이 지난 뒤 신규주택을 취득했으므로 요건은 성립한다. 

ⓑ. 3년이내 양도, 왜? : 2018년 9월 13일 이전에 b주택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납부를 했으므로 3년 예외조건에 해당한다. 

4. 3년이내 기존주택 양도에 대한 예외2 : 1년 이내 전입 & 1년 이내 기존주택의 양도

① 기존주택 조정지역, 2019.12.17. 이후 취득한 주택 : 조정지역 (신규주택) 

※ 예외 : 2019.12.16. 이전에 조정대상지역에 주택을 취득한 경우 혹은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경우
2년 이내 양도

요약

※ 예외 : 기존주택 비조정 - 신규주택 조정 / 기존주택 조정 - 신규주택 비조정 / 기존주택 비조정 - 신규주택 비조정 3년 이내 양도

예시를 생각해봅시다2

취득 당시에는 기존주택 및 신규주택 모두 조정대상이 아니었지만 기존주택을 매각할 때 조정지역이 됐다면? : 3년이내 양도 

예시를 생각해봅시다3

신규주택의 계약일과 잔금일 사이에 기존주택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변경됐다면? 3년 

쉽게 생각해봅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