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년물 국채금리 3.471%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2023년 1월 6.5%
물가상승은 곧 통화가치 하락. 통화가치는 6.5% 하락하는데 국채금리는 3.471%
즉 실질이자율 = 명목이자율 - 인플레이션율
10년물 미국 국채금리 기준으로, 실질이자율은 -3%로 볼 수 있다.
정상화 시키기 위해서 금리를 계속 올리겠지만, 그 한계는 어디인가?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581
미국 연방 부채 이자가 곧 군사비 넘어설 듯 - 포춘코리아(FORTUNE KOREA)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전쟁은 주택 구매자와 신용 카드 빚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다. 연방 정부도 높은 차입 비용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연준이 금리를
www.fortunekorea.co.kr
금리의 한계선은 미국의 이자부담액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자부담액이 커진다면 행정력이 약화될 것이고 이는 곧 정권재창출이 어려워 진다는 것이다.
부채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인플레이션 (화폐가치의 하락)이다.
어디까지 이자를 부담할 수 있는가?가 관건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인플레이션을 통해 부채를 녹이겠지만
단기적으로 금리 인상의 한계는 어디까지 이자를 감당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무엇이든 써보는 생각 > 세상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살에 첫 직장생긴 DC인 (백수갤러리) (0) | 2022.10.26 |
---|---|
"요청하신 결제금액" 스미싱 조심하세요! (0) | 2022.07.20 |
도쿄 전철 방화ㆍ칼부림 사건 (영상 및 기사 링크) (0) | 2021.10.31 |
마동석이 출연하는 마블 영화 <이터널스> 개봉일, 마동석역할, 길가메시 (0) | 2021.10.31 |
국민의힘 대선후보들의 종교는?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