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2019년부터 부동산 투자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수십만원 짜리 강의를 몇번이고 수강하고, 책도 몇십권 읽었지만 이렇게 정리하지 않으면 계속 흔들릴 것 같아서 이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이곳저곳에서 들은 이야기를 모으고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투자에는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흔들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후회도 없고 계속 투자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본론
어떤 숲을 고를 것인가?
- 전세가 매매가 갭이 작은 지역을 선택합니다.
이유1 : 투자금이 적게듭니다.
이유2 : 상승의 전조징후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 서술) - 방법 : 어떻게 갭이 작은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가?
방법1 : 부킹 사이트 이용 (http://buking.kr/)
부킹 사이트에서 랭킹 - 전세가율 - 시별을 눌러봅니다.
방법2 : 통계청 이용
위에 나온 부킹사이트는 접근이 편리하고 보기좋게 나열돼있지만, 개인사이트라는 특성상 언제든지 없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조금 불편하지만 좀 더 흔들리지 않는 자료를 보고싶으시면 통계청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째, 통계청에 들어갑니다. (검색은 할 줄 아시죠?)
둘째, 통합검색에 유형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율을 검색합니다.
셋째, 통계표를 들어갑니다.
넷째, 주택유형별에서 아파트만을 선택합니다.
다섯째, 우상단의 통게표 조회를 누릅니다.
여섯째, 통계를 살펴봅니다. 앞서말한 부킹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부킹과 통계청 모두 한국부동산원의 자료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 주의할 점
상승장의 경우는 갭이 작은 지역이 투자 대안으로서 좋은 측면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하락장의 경우 조심해야 합니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크게 두가지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① 전세가가 올라서 매매가를 따라가는 경우 (좋은신호)
→ 이 경우는 아파트의 사용가치인 전세가가 올라가는 경우기 때문에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작아질 경우 매매가가 전세가를 딛고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매매가가 내려서 전세가를 따라가는 경우 (좋지 않은 신호)
→ 이 경우 그 지역 혹은 시장 전체가 하락하는 경우기 때문에 잘못하면 물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심해야 합니다. (다른 신호들이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요약
어떤 숲을 고를 것인가?
- 전세가 매매가 차이가 작은 곳을 선택한다.
이유1 : 투자금이 적게든다
이유2 : 상승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 - 방법
방법1 : 부킹사이트 이용
방법2 : 통계청 사이트 이용 - 주의할 점 : 왜 전세가와 매매가 갭이 작아지는지 생각해라
전세가가 올라서 갭이 작아지는 경우 (좋은신호)
매매가가 낮아져서 갭이 작아지는 경우 (주의 : 다른 지표들을 또 살펴볼 것)
'1. 투자 아이디어 > 아파트 투자의 루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지역선정하기 : 미분양물량 보기 (0) | 2021.06.12 |
---|---|
2. 지역선정하기 : 입주물량보기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