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밥굽남 선생님의 그 집게

100만 유튜버 밥굽남 선생님은 핀셋으로 밥을 먹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핀셋은 길어야 손가락 길이인데, 이분은 30cm나 되는 이 핀셋으로 라면도 먹고 고기도 굽고 합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얼마전에 동원몰에 이 제품이 특가로 올라왔습니다. (무료배송입니다)

동원몰
네이버쇼핑

네이버로 보면 더 싼게 있긴한데요, 동원몰에서는 배송비가 무료고 처음으로 가입하면 적립금을 요령껏 몇천원씩 더 받을 수 있으니까요. 

저는 7,560원 - 가입적립금 4000원 = 총 3,560 (배송비 포함)해서 구입했습니다. PAYCO로 결제했으니 2%는 다시 적립되니 여기서 71원은 다시 포인트로 적립되겠어요. 

아직 배송은 오지 않았지만, 이래저래 잘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됩니다. 

https://www.dongwonmall.com/product/detail.do?productId=001388885&cate_id= 

 

★비밀특가★[바겐슈타이거] 퓌어집게상품상세_동원몰

주문/배송 안내 배송지역 전국 일부 도서, 산간 지역은 배송불가하거나 배송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비 밴드배송/쿨밴드배송 3만원 이상 구매 시 전 상

www.dongwonmall.com

 

반응형
반응형

용산역 플랫폼

오늘의 강의 : 홈그라운드 만들기 총 22강 중 5강까지 

배운 내용 : IT 플랫폼 비지니스를 왜 공부해야 하는가?

네이버사전

1. 시작하며

플랫폼은 본디 기차역의 플랫폼 즉 기차를 기다리고 타고 내리는 곳을 의미합니다. 여러분들도 아시듯이 그곳에서는 편의점도 있고요 델리만쥬도 팔지요. 플랫폼에는 항상 먹거리나 편의시설이 있습니다. 플랫폼 그 자체가 별도의 마케팅 없이 비즈니스를 모델을 창출하게 한다는 뜻이지요. 

코레일유통

IT플랫폼 비지니스도 이러한 개념과 비슷합니다. 네이버, 다음, 카카오로 대표되는 IT플랫폼 비지니스는 공급자 수요자가 모두 참여해서 각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창출하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공급과 수요가 동시에 일어나는 모든 곳은 다 플랫폼 비지니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옥션, 쿠팡,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등 사용자가 직접 공급하고 수요하는 공간이면 모두 플랫폼 비지니스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플랫폼 비지니스는 4차 산업의 핵심 비지니스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업들이 플랫폼 비지니스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쟁적으로 플랫폼 비지니스를 만들려고 하고 있으며, 그 세그먼트는 점점 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동산만 다루는 직방, 자동차 수리만 다루는 카닥, 법률서비스만 다루는 로톡 등) 따라서 미리 공부하면 기회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기회를 빠르게 발견할수록 수익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https://museoblog.tistory.com/127

 

220109 콤파다 : 산업 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오늘의 강의 : 홈그라운드 만들기 총 22강 중 3강까지 배운 내용 : 산업 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1. 산업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① 공부할 산업을 정한다 : 배경지식이 전무한 산업이 아닌, 내가

museoblog.tistory.com

2. 전통적인 비지니스와 비교하기

IT플랫폼 비지니스를 이해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비지니스를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전통적인 비지니스는 원자재를 만들고 가공하여 판매하는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자동차/반도체/섬유/의류/유통 등등) 

반대로 플랫폼은 둘 이상의 상호 종속적인 그룹간의 교환을 촉진하여 가치를 창출합니다. 그 형태는 다양하지만 주로 공급자와 소유자 혹은 생산자와 소비자로 구성됩니다. 

3. IT플랫폼 비지니스의 특징 1 : 경제적 해자

IT플랫폼 비지니스는 어느정도 임계점 이상의 플랫폼은 계속 앞서나가거나, 뒤쳐진 플랫폼은 계속 뒤쳐집니다.
이는 네트워크 효과와 규모의 경제라는 경제적 해자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한정할 때) 메신저 서비스의 카톡과 라인을 비교한다면.. 카카오가 압도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새로운 후발주자가 나오기도 어렵구요. 

뭐... 꼭 그런건 아닙니다만

규모의 경제와 네트워크 효과는 지난시간 블로그 포스팅에 정리해뒀습니다. 

https://museoblog.tistory.com/129?category=1016147 

 

220111 콤파다 : 경제적 해자

오늘의 강의 : 홈그라운드 만들기 총 22강 중 4강까지 배운 내용 : 경제적 해자 해자는 본래 침략자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성둘레에 파놓은 연못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해자는 곧 해당 기업

museoblog.tistory.com

IT플랫폼 비지니스에서 네트워크 효과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들간의 네트워크 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위에 블라인드 짤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사용자들이 만들어내는 컨텐츠가 다시 또 새로운 사람들을 유입시키는 선순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저런 재밌는 이야기를 나도 보고싶어..."라면서 가입할 수 있겠죠.

IT플랫폼 비지니스의 규모의 경제는 이용자가 한명이 늘어난다고 투입되는 서비스 비용이 비례해서 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서 카톡을 새로 가입했다고 해서 카톡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재고가 줄어드는게 아니란 것이죠. (우버나 에어비앤비도 마찬가지입니다.) 적자를 감수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려는 이유는 이런 이유입니다. 

4. IT플랫폼 비지니스의 특징 2 : 경계가 모호하다

카카오톡은 메신저서비스만 하고 있지 않으며, 배달의 민족도 배달 외의 영업으로 넓혀나가고 있습니다. 
각각 비중이 큰 분야가 있습니다. 네이버는 쇼핑에 큰 비중을 두고있으며, 카카오는 금융에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요약

1. 플랫폼비지니스란? : 모두 참여해서 각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창출하는 환경
2. 전통적인 비지니스와 비교하기 : 전통적인 비지니스는 단방향적이나 플랫폼 비지니스는 양방향이다. 
3. IT플랫폼 비지니스의 특징 1 : 경제적 해자를 갖는다.
4. IT플랫폼 비지니스의 특징 2 : 경계가 모호하다

반응형
반응형

https://pxhere.com/ : 해자는 본래 침략자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성둘레에 파놓은 연못을 의미한다

오늘의 강의 : 홈그라운드 만들기 총 22강 중 4강까지 

배운 내용 : 경제적 해자

해자는 본래 침략자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성둘레에 파놓은 연못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해자는 곧 해당 기업이 다른 기업보다 우위에 있는 경쟁력 혹은 독점력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해자 1 : 무형자산

특허권 혹은 브랜드가치를 의미합니다. 같은 품질의 제품이더라도 메이커는 좀 더 비싸게 받을 수 있겠지요. 
소비자의 구매 의향을 높이거나 고객 흡인력을 향상시키는 브랜드가 경제적 해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가격결정능력이나 반복 구매를 통한 수익 창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은 경쟁 우위에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각 기업의 사업내용이 경제적 해자를 갖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투자의 포인트)

무형자산은 눈에 보이지 않는 진입장벽이다! 

경제적 해자 2 : 규모의 경제

규모의 경제를 갖는 것도 경제적 해자이다

경제적 해자 3 : 네트워크 효과 - 하나의 생태계에 종속되면 쉽게 바꾸지 않으려는 효과

윈도우를 사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효과의 대표적인 예이다

네이버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네이버블로그, 카페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진다. 더 많은 사람을 회원으로 갖고있을수록 서비스를 더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많을수록 큰 네트워크 효과가 구축되고, 신규사업자가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반응형
반응형

주택임대차분쟁 조정사례집 (법무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moj.go.kr/moj/315/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9qJTJGMTE4JTJGNTU0NzQ5JTJGYXJ0Y2xWaWV3LmRvJTNGcGFzc3dvcmQlM0QlMjZyZ3NCZ25kZVN0ciUzRCUyNmJic0NsU2VxJTNEJTI2cmdzRW5kZGVTdHIlM0QlMjZpc1ZpZXdNaW5lJTNEZmFsc2UlMjZwYWdlJTNEMSUyNmJic09wZW5XcmRTZXElM0QlMjZzcmNoQ29sdW1uJTNEJTI2c3JjaFdyZCUzRCUyNg%3D%3D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위치. 전자민원, 준법 운동, 여성포럼, 인권 광장.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위치. 전자민원, 준법 운동, 여성포럼, 인권 광장.

www.moj.go.kr:443

2호같은 경우에는 사실상 월세를 올려받지 말라는 뜻인데요 ㅡㅡ;; 

뭐 정확한 해석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50만원 월세를 내던 종전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를 거절하고 55만원에 새로운 임차인을 들인경우
차액인 5만원의 2년치를 손해배상액으로 드려야 하네요. 사실상 월세를 올리는 의미가 없어지죠...

무튼 저 사례집을 잘 읽어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의 강의 : 홈그라운드 만들기 총 22강 중 3강까지 

배운 내용 : 산업 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1. 산업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① 공부할 산업을 정한다 : 배경지식이 전무한 산업이 아닌, 내가 좋아하거나 / 종사하거나 / 소비하는 산업을 선택한다.
배경지식이 전무한 산업을 공부하면 공부를 지속하기 어렵다.
친숙한 산업을 생각하자 그리고 산업 전체를 훑어보자.
② 대표기업을 공부한다 : 그 산업의 대표기업은 산업 내에서 가장 시총이 큰 기업이다.
③ 해당 산업 전체를 공부한다 : 대표기업에서 시작되는 밸류체인을 공부하면서 산업 전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간다.
④ 투자기회를 찾는다. : 산업 공부를 하지 않는 사람은 발견하지 못하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기회를 빠르게 발견할수록 수익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2. 공부할 산업을 고르는 예시

돈깡이 좋아하는 산업을 생각해보자 (https://museoblog.tistory.com/126?category=1016147)

전에 쓴 게시물

자동차 / 가구 / 섬유 → 물류라는 산업을 생각한다. 

① 하늘의 대한항공

② 바다의 HMM 

③ 지상의 CJ대한통운

이중에서 CJ대한통운을 생각한다

+지상에서의 물류와 관련된 회사를 생각해본다 

삼성SDS

대외SI 및 물류산업 그리고 IT Outsourcing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

동아쏘시오홀딩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보다 더 해당 산업군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은 CJ대한통운이다. 즉 지상물류의 대표기업은 CJ대한통운이다. 

(*대표기업 : 하나의 산업군을 정했을 때 떠오르는 기업. 떠오르지 않으면 1등 혹은 2등하는 기업을 생각해본다.) 

대장주

CJ대한통운은 어떻게 할 때 매출이 증가하는가 (아이디어를 생각하기)

* 인터넷쇼핑거래액 증가 → 택배물동량 증가 → 택배산업의 수혜산업 : 골판지 수요 상승 → 제자회사의 주가상승
* 아마존 국내진출 → 택배회사 매출 상승

간단해보이지만 산업에 대해서 얼마나 이해하고있는지 없는지는 투자기회를 풍성하게 한다.

아는 산업이 많아질수록 다른 시각으로 사안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

3. 돈깡의 사담

통일 시 어떤 산업이 가장 유망해질 것인가? : 물류업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