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크림진짬뽕
마른안주에 찍어먹는 마요네스.. 호프집스타일
바나나맛 오리온 초코파이
독일의 마이카 비엔나 소시지
노브랜드 돈코츠라멘
마늘기름
파기름
기버터 오일 (인도요리에 쓰인다고 합니다)
하인츠 할라피뇨 케쳡
캡슐스타일의 사골곰탕, 커피머신에 넣어야 할 것 처럼 생겼다
고메레시피 태국식카오팟 : 밥, 크래미, 계란만 준비하세요!
타마린드 : 타마린드 소스를 만드는데 쓰일 것 같습니다
인도식 마살라 페이스트 / 버터 치킨 커리
태국 스타일 마싸만 커리 / 그린커리

반응형
반응형

오늘의 숙제

들어가며

엑셀에서 업무를 하다보면 주소나 전화번호처럼 규칙으로 이루어져있는 데이터를 접할 기회가 많습니다. 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각 어절이 갖고있는 성격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해당 어절이 같은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면 LEFT나 RIGHT 함수를 사용해서 추출할 수 있습니다. 혹은 스페이스나 같은 "-", ":" 등의 특수문자로 분류가 된다면 텍스트나누기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좋겠죠.

이번에 소개드릴 기능은 엑셀2013에서 추가된 자동 채우기 기능입니다. 서론이 너무 길었습니다. 바로 사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본문

 

2번째 열에 광역자치단체만 넣고싶다면?

2번째 열에 광역자치단체(서울, 경기, 전북, 부산)만 넣고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 첫행은 내가 작성한다.

사진에 나온대로 직접 첫행은 작성합니다.

2. 작성할 칸을 선택한 뒤 Ctrl + E 를 누릅니다

3. 마법같이 분류가 되는 것을 지켜봅니다.

퇴근시간이 빨라지는 소리가 들리시나요?

 

마치며

이메일주소, 날짜, 전화번호 등 일정한 규칙을 가진 데이터라면 거의 분류가 가능합니다. 
정말 강력하고 좋은 기능이 아닐 수 없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map.seoul.go.kr

 

스마트서울맵, 더 스마트한 서울지도

스마트서울맵은 도시생활지도, 3D 서울지도, 시민말씀지도, 코로나19 지도, 시민참여지도 등 대표 서울지도 서비스입니다.

map.seoul.go.kr

시작하며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스마트서울맵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본론

2020년 6월부터 서울시 서비스한 스마트서울맵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눈여겨볼만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울시내 코로나 임시선별진료소 지도 

map.seoul.go.kr/smgis/short.jsp?p=6MXI9

 

스마트서울맵

서울시민 누구나 코로나 19 검사 가능한 임시선별검사소 63개소 추가 설치 :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코로나 19 확산 차단을 위해 역학적 연관성과 상관없이 ① 시민 누구나 ② 무료로 ③ 익명검

map.seoul.go.kr

2. 서울시내를 3D로 볼 수 있는 S-MAP

smap.seoul.go.kr/

 

에스맵(S-MAP)

서울시 전역을 3차원 가상현실로 구축하여 안전,환경,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수립지원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서울시 대표 3차원지도

smap.seoul.go.kr

3. 서울 내에 가볼만한 곳을 소개한 『잘생겼다 서울』

map.seoul.go.kr/smgis/short.jsp?p=6MXIN

 

스마트서울맵

잘생겼다 서울! 서울에 잘 생긴 시민공간을 소개합니다

map.seoul.go.kr

4. 수유공간이 필요할 때, 수유시설지도

map.seoul.go.kr/smgis/short.jsp?p=6MXJr

 

스마트서울맵

서울시 각 기관에 있는 수유시설에 대한 위치와 이용방법을 소개합니다.

map.seoul.go.kr

5. 천주교의 역사와 함께하는 서울시 천주교 순례지도

map.seoul.go.kr/smgis/short.jsp?p=6MXJL

 

스마트서울맵

아시아 최초의 천주교 서울 순례길을 세계적 도보관광 명소로 만들기 위한 관광자원화 사업을 본격하여 총 44.1km를 잇는 천주교 서울 순례길에 포함된 순례지 3개 도보관광코스를 새롭게 개발하

map.seoul.go.kr

6. 서울내의 노포를 소개하는 오래가게

map.seoul.go.kr/smgis/short.jsp?p=6MXK5

 

스마트서울맵

서울에는 오래된 가게가 많습니다. 2017년부터 서울만의 정서와 이야기를 오랜 시간 지켜온 가게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지도에 담았습니다.

map.seoul.go.kr

 

마치며

이외에도 접속하셔서 도시생활지도 탭을 클릭하시면 레이어를 이용하여 중첩된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들어가셔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www.cardpoint.or.kr/

 

여신금융협회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사이트

홈페이지

www.cardpoint.or.kr

지인을 통해서 알게된 정보입니다.

여신금융협회에서 실명인증을 하면 본인이 갖고있는 포인트를 통합해서 조회가 가능하고 내 계좌로도 출금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물론 방금 저도 했습니다. ^^

 

통합조회&계좌입금

1. 통합조회&계좌입금을 누릅니다.

2. 약관동의를 합니다.

3. 본인인증을 한 뒤

4. 위임장에 동의를 합니다.

5. 카드포인트 계좌입금을 누릅니다

6. 전부입금 후 포인트 계좌입금 신청을 누른 뒤

생년월일과 예금주를 입력한다

7.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시작하며

맹지투자 아이디어 3번째 정리입니다. 이번에는 1,2편과 연계되어 알아봐야 할 구거점용허가 방법과 비용입니다.

1편에서는 대장TV의 유튜브를 요약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변에 건축이 가능한 토지가 붙어있다면 유심히 보기!
2. 개발 계획이 있는 맹지땅을 선점하기
3. 맹지땅 주변에 나라가 보유하는 토지나 지자체가 껴있는 토지를 활용

 

2편에서는 대박땅꾼 유튜브를 요약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맹지의 등급을 생각하라 A-C급까지 있다. C급은 영원히 맹지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2. A급중의 A급, AA급은 구거를 끼고 있는 맹지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깡을 넣고 덮어서 길을 내거나, 혹은 구거점용허가를 받거나 하면 된다.
3. 현황도로만 있는 맹지 → 건축허가가 난다. (반드시 미리 확인!)
4. 지적도에만 도로가 접한 맹지 → 도로를 만들면 된다. (비용발생)
5. 초보는 왠만하면 하지말 것.

오늘 올릴 3편에서는 구거점용허가 방법과 비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2편에서 AA급 맹지라고 말한 구거를 끼고있는 맹지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늘 내용의 출처는 유튜브 부동산공화국입니다. 주로 토지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최근 구독자가 많이 늘어난 채널입니다. 발랄하지는 않지만 진중한 내용과 깔끔한 영상이 돋보입니다.

youtu.be/opp3Ff1WjAo

꼭 들어가서 보세요, 투자를 바꾸는 15분 : 인생을 바꾸는 15분!!

구거점용허가 방법과 비용

1. 구거란 무엇인가? 

영상 들어가서 설명을 꼭 들어보세요

구거란 물길입니다. 보통 도랑이라고합니다. 지목이 구거, 천, 등 다양하게 되어있으나 보통 구거라고합니다.

2. 얼마나 점용할 것인가?

얼마나 점용할 것인가?

진입로로 쓸 부분만 허가를 받으면 됩니다.

지자체에 물어보세요

3. 구거점용허가의 비용

허가비용과 공사비용으로 나뉩니다

4. 구거가 있으면 맹지가 아니니까 구입해도 될까?

일반적으로는 구거 자체가 호재이다

지자체에 전화해서 점용허가를 받을 수 있는지? 다른사람이 받지는 않았는지 확인해본다. 부동산에서 구거있으니까 좋다라는 말을 무조건 믿지 말 것!

5. 다른사람이 이미 내 앞에 땅에 점용허가를 받았다면?

옆에 주유소가 미리 점용허가 한 경우

주유소가 이미 다른 땅쪽까지 구거를 점용허가 받은 상태입니다. 

 

결론

구거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호재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으나, 현장에 가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관할 지자체에 꼭 문의하시고 가능여부를 확실하게 하지 않으면 맹지는 그냥 맹지로 남을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상황이 미래 상황과 꼭 같지는 않으며 이는 지자체 조례와 공무원의 재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생각

부동산공화국 채널을 통해서 짧지만 알찬 강의를 요약해봤습니다. 알면 알수록 어려워 보이지만 여러가지 영상을 정리하면서 공통점으로 관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보입니다. 즉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을 계속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리스크라고 함은 맹지가 건축가능한 토지가 아닌 맹지로 남을 리스크 입니다. 이 부분 계속 생각해서 공부해야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