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임스 "bond"

https://museoblog.tistory.com/136

 

전환사채에 대해서 생각하기 (1) - 전환사채 공시를 확인하는 법

시작하며 전환사채는 단기적인 악재가 될 수도 있고, 혹은 장기적인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환사채 공시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전환사채 공시를 확인하

museoblog.tistory.com

시작하며

지난시간에 이어서 쓰는 글 입니다. 공시를 열었으면 도데체 어떤 것을 봐야하며 그것을 어떻게 판단할지에 대한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즉, 무엇이 돈이 되는 정보인지를 봐야하죠. 가장 최근 공시(미스터블루)를 보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제 포스팅 뿐만 아니라 유튜브, 다른 블로그 등을 꼭 참고하시고 공부하세요!

본론

1. 미스터블루

오늘 공시를 한 미스터블루는 웹툰, 만화, 소설 등 컨텐츠 관련 기업으로 상당수의 저작권을 확보하고 있으며 자체 컨텐츠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2. 처음으로 볼 것 : 전환가액

전환가액은 보통 시가보다 낮게 설정됩니다. (일반적인 회사채보다 이자가 낮게 설정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전환가액이 시가랑 비슷할수록 프리미엄이 적은 것입니다. 기업입장에서 유리한 부분입니다. 
전환가액이 너무 싸다면, 기업의 재무상태가 그닥 좋지 않을 수 있다는 방증일 수 있습니다.

3. 주식수

사채의 총액 ÷ 발행주식수 = 전환가액입니다.
이를 통해서 채권이 모두 주식으로 전환되었을 때, 희석되는 주식가치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 희석되는 주식 수 이상의 비율로 시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장에서는 사실상 유상증자처럼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즉 기업에 주주친화적이지 않다는 신호를 주는 것이기 때문이죠.

4. 표면이자율

 

이자율이 낮을수록 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 (즉 채권자에게 불리한 조건입니다.) 
그럼에도 발행이 된다는 것은 기업가치가 높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5. 최저 조정가액 refixing 

전환가액 8,427원의 80%인 6,742원입니다. 
최저 조정가액은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낮아지면, 전환가액을 낮출 수 있다는 것입니다. 
(채권자는 전환가액이 낮아지면 더 많은 주식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오늘 다룰 CB는 전환사채

시작하며

전환사채는 단기적인 악재가 될 수도 있고, 혹은 장기적인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환사채 공시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전환사채 공시를 확인하는 법

https://dart.fss.or.kr/main.do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1. dart로 들어갑니다

공시서류검색 - 공시통합검색

공시통합검색을 들어갑니다

2. 분류를 전체로 설정합니다

3.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발행결정)을 클릭하고 검색합니다

*다른 목차에서도 나오긴 하는데 주로 주요사항보고서를 사용합니다. 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4. 들어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접수일자 최신순으로 정렬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의 강의 : 홈그라운드 만들기 총 22강 중 3강까지 

배운 내용 : 산업 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1. 산업분석을 공부하는 순서

① 공부할 산업을 정한다 : 배경지식이 전무한 산업이 아닌, 내가 좋아하거나 / 종사하거나 / 소비하는 산업을 선택한다.
배경지식이 전무한 산업을 공부하면 공부를 지속하기 어렵다.
친숙한 산업을 생각하자 그리고 산업 전체를 훑어보자.
② 대표기업을 공부한다 : 그 산업의 대표기업은 산업 내에서 가장 시총이 큰 기업이다.
③ 해당 산업 전체를 공부한다 : 대표기업에서 시작되는 밸류체인을 공부하면서 산업 전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간다.
④ 투자기회를 찾는다. : 산업 공부를 하지 않는 사람은 발견하지 못하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기회를 빠르게 발견할수록 수익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2. 공부할 산업을 고르는 예시

돈깡이 좋아하는 산업을 생각해보자 (https://museoblog.tistory.com/126?category=1016147)

전에 쓴 게시물

자동차 / 가구 / 섬유 → 물류라는 산업을 생각한다. 

① 하늘의 대한항공

② 바다의 HMM 

③ 지상의 CJ대한통운

이중에서 CJ대한통운을 생각한다

+지상에서의 물류와 관련된 회사를 생각해본다 

삼성SDS

대외SI 및 물류산업 그리고 IT Outsourcing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

동아쏘시오홀딩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보다 더 해당 산업군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은 CJ대한통운이다. 즉 지상물류의 대표기업은 CJ대한통운이다. 

(*대표기업 : 하나의 산업군을 정했을 때 떠오르는 기업. 떠오르지 않으면 1등 혹은 2등하는 기업을 생각해본다.) 

대장주

CJ대한통운은 어떻게 할 때 매출이 증가하는가 (아이디어를 생각하기)

* 인터넷쇼핑거래액 증가 → 택배물동량 증가 → 택배산업의 수혜산업 : 골판지 수요 상승 → 제자회사의 주가상승
* 아마존 국내진출 → 택배회사 매출 상승

간단해보이지만 산업에 대해서 얼마나 이해하고있는지 없는지는 투자기회를 풍성하게 한다.

아는 산업이 많아질수록 다른 시각으로 사안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

3. 돈깡의 사담

통일 시 어떤 산업이 가장 유망해질 것인가? : 물류업

반응형
반응형

www.irasutoya.com

오늘의 강의 : 주식 개념완성 총 7강 중 6강까지

배운 내용 : 

1. 각종 지표를 생각하기

EPS 주당 순이익 : 높을수록좋다
PER 주가수익비율 : 낮을수록좋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 낮을수록좋다
ROE 자기자본이익율 : 높을수록 좋다

2. 공시를 어디서 보나요?

공시 : 네이버 증권에 들어가서 뉴스 - 공시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 혹은 dart에서 확인한다 
*기업을 분석하다가 불성실 공시를 보면 유의를 할 것

3. 증자는 어떻게 되고 종류는 무엇인가요?

유상증자 : 주식수를 늘리는 행위, 전체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므로 기존주주에게는 좋지 않은 소식
증자의 방식 : 기존주주에게만 신주인수하는 방식 / 일반공모방식 / 제3자 배정방식

* 호재인가? 악재인가? : 기업의 성장이 예상되어 자금발행을 위해 하는 경우 : 호재 
부채를 상환하기 위한 것은 주로 악재 → 단면적인 판단은 어렵다

무상증자 : 주주친화정책이다, 배당의 개념과 비슷하다 대체로 호재

4. 공매도는 무엇인가요?

공매도 : 주식을 빌려와서 매도하는 것 
숏 스퀴즈 : 주가가 예상대로 하락하지 않은 채 만기일이 도래하는 것 (게임스탑사태를 생각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http://www.yes24.com/Product/Goods/71973904

 

나의 월급 독립 프로젝트 - YES24

종잣돈 480만원으로 시작해 3년 만에 30억 수익! 하루 12시간씩 일하던 일개미는 어떻게 슈퍼개미가 되었을까?3년 수익률 60,000% 투자 원칙 공개, 실제 계좌 수익 인증!『나의 월급 독립 프로젝트』

www.yes24.com

시작하며

최근 나의 월급독립프로젝트라는 책을 읽고있습니다. 책에서는 글쓴이가 직접 계좌를 공개하며 20000%가 넘는 회전율을 보여주었는데요. 가치투자만이 정답인 것 처럼 외치는 분위기에 반발하며 단타 및 스윙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책입니다. 그 중 기본적분석 - 분기보고서가 말해주는 것들에 대해서 요약해 보겠습니다. 

본론 - 분기보고서가 말해주는 것들

1. 회사의 개요

봐야할 것 : ① 무슨 사업을 하는지 살펴본다 ; 메인이 되는 사업 이외에 다른 사업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이것이 현재 유행하는 테마라면 상승의 가능성이 있다. 

② 주소 : 회사의 주소지가 테마와 엮일 경우 큰 수익을 가져다 주는 경우도 있다. 

페이퍼 코리아는 새만금 부근에 대규모 토지를 보유하고 있어서, 새만금 개발 소식만 나오면 상한가를 기록하곤 했다. 

2. 자본금 변동 : 왜 변동했는가를 생각할 것
① 늘었으면? : 증자 혹은 회사채
② 줄었으면? : 감자
③ 전환사채, 신주인주권부사채 : 자본상태를 체크한다. 

3. 주식의 총수 : 발행주식의 총수는 설립 시 주식 총수의 4배를 넘지 못한다. 
① 감자가 없으면, 튼튼한 회사라는 방증이 된다.
② 증자가 많아도 좋지 않다.

4. 배당에 관한 사항 : 배당을 잘 준다면 가산점이 되는 요소이다.

5. 사업의 내용 
어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지? 비전을 어떻게 제시하는지 정도를 체크한다. 모두 이해할 수는 없다. 
해당 사업의 업황 및 그 회사의 시장 점유율을 본다. 그리고 비전을 어떻게 제시하는지를 본다. 

반응형

6. 재무 : 주로 볼 것은 자산, 부채, 실적
① 부채 : 늘면 악재, 줄면 호재
② 매출 : 증가하는지 본다. 그리고 영업이익과 함께 생각하낟. 
경상이익은 사업 외 순익을 포함한다. (토지를 매각하는 등)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괜찮다.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사업 외 어딘가에서 돈을 까먹고 있다.

7. 감사인의 의견 (2-3월에 본다.)
2-3월에 감사의견이 없으면 건들지도 말 것.

8. 주주에 관한 사항
대주주가 지분이 많으면 가산점을 준다.

9. 계열사에 관한 사항
타법인 출자 현황 : 어떤 기업과 엮여있는지 본다. 출자한 기업이 상승할 시 같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 

결론

위에 나온 9가지를 기준으로 살펴보고 파란불이 켜진다 싶으면, 차트를 보고 진입할 자리를 찾는다. 
하방이 얼마나 든든한지는 분기보고서를 봐야한다. 주식을 사야하는 레퍼런스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