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youtu.be/2y9xt4FIl7o

꼭 들어가서 보세요

『도파네이션』을 애나 렘키 선생님을 돌돌콩님이 인터뷰한 영상입니다.
제 스스로 기억하고 남기기 위해서 쓴 포스트입니다.

애나 렘키, 『도파민네이션』

Q. 내 일상이 무너지지 않음에도, *행동중독을 고쳐나가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알콜이나 약물과 같은 물질중독이 아닌 넷플릭스나, SNS, 쇼핑등에 중독되는것.

행동중독을 생각할 때, 실제로 손상되는 기관은 뇌입니다. 중독된 행동들은 도파민을 엄청나게 분비하고, 그 행동을 더 강화시킴으로서 우리 뇌를 잠식, 손상시킵니다. 

도파민은 우리 뇌의 보상 회로에서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인데요, 결국 뇌는 도파민의 생산과 전달을 억제하려고 합니다.
이때문에 우리의 쾌락과 기쁜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고 만성적인 도파민 결핍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 상태는 우울증의 증상과 비슷하게 됩니다.

또한 대인관계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실제 사람들을 만날 때 집중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를 소비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이나 에너지 때문에 배우자나 가족, 친구에게 집중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Q. 쾌락과 고통의 균형에 관해서

A. 우리는 쾌락을 처리하는 뇌의 부위와 고통을 처리하는 부위가 동일하다는 것을 찾아냈어요. 그 들은 마치 균형의 양끝에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가 고통과 쾌락을 처리하는지를 시소에 비유해봅시다. 

쾌락적인 상황에는 쾌락으로 시소가 기울어지고, 고통이 발생하는 상황에는 고통쪽으로 시소가 기울어집니다. 
그런데 이 시소가 관리되는 규칙이 있습니다.

첫째로, 이 시소는 수평상태를 이루고자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규칙이 깨지면, 우리의 뇌는 그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을 합니다. 초콜릿 케이크를 먹었다고 가정합시다. 맛있고 쾌락을 불러일으킨 뒤, 이 일이 일어나자 마자 뇌는 도파민 전달과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시소의 균형을 되찾으려고 합니다. 

요정들이 반대쪽에서 쿵쿵 뛰는 것을 상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이 요정들은 시소 위에있는 것을 좋아해, 시소위에서 내려오지는 않습니다. 고통쪽으로 시소가 기울 때까지 그 위에서 뛰어놀죠. 

반대쪽으로 고통이 생기는 것은 숙취나 월요병을 느끼는 것과 같다.

충분한 시간을 기다리면 다시 균형을 찾습니다. 쾌락뒤에 고통이란 보통 그 행동을 다시 하고싶은 욕구로 드러납니다. 
왜 자연은 쾌락-고통의 균형을 만든 것일까요? 물직이 희소하고 위험이 도사리는 곳에서는 이것은 아주 적절한 시스템입니다. 인류는 대부분의 시간은 그러한 환경에서 살았습니다. 
즐거움이 순간적이라는 사실을 알게하고, 그 뒤에 따르는 고통을 벗어가고 싶게 함으로써 계속해서 다음 즐거움을 찾아 나서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열매를 따먹고 또 다른 열매를 얻기 위한 동기 등)
하지만 현대사회를 모든 것이 중독적인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중독적인 행동을 계속함으로 시소의 고통부분에 수많은 요정들이 눌러살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짜증, 우울, 불면증과 같은 보편적인 금단현상을 느끼는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