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월봉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3.471%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2023년 1월 6.5%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2023년 1월 6.5%

물가상승은 곧 통화가치 하락. 통화가치는 6.5% 하락하는데 국채금리는 3.471% 

 

즉 실질이자율 = 명목이자율 - 인플레이션율

10년물 미국 국채금리 기준으로, 실질이자율은 -3%로 볼 수 있다.

정상화 시키기 위해서 금리를 계속 올리겠지만, 그 한계는 어디인가?

미국 GDP 대비 부채비율
http://www.fortunekorea.co.kr/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581 

 

미국 연방 부채 이자가 곧 군사비 넘어설 듯 - 포춘코리아(FORTUNE KOREA)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전쟁은 주택 구매자와 신용 카드 빚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다. 연방 정부도 높은 차입 비용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연준이 금리를

www.fortunekorea.co.kr

금리의 한계선은 미국의 이자부담액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자부담액이 커진다면 행정력이 약화될 것이고 이는 곧 정권재창출이 어려워 진다는 것이다. 

부채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인플레이션 (화폐가치의 하락)이다. 

어디까지 이자를 부담할 수 있는가?가 관건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인플레이션을 통해 부채를 녹이겠지만
단기적으로 금리 인상의 한계는 어디까지 이자를 감당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http://www.fortunekorea.co.kr/

 

반응형
반응형

https://youtu.be/eCfhuJK3YDE

출처 : 전인구 경제연구소

언제나 좋은 가르침을 주는 전인구경제연구소 참조 및 요약입니다... 사실 제가 기억하기 위해서 스크랩하는 것이죠

물가상승속도와 임금상승속도는 같은게 좋다 (가장 이상적이다) 

→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일치하게 된다. 

증시 또는 부동산의 대세상승 구간으로 돌입한다 : 역사의 반복으로 알 수 있다.

그 묘수는 무엇인가?

1. 원자재가격을 떨어뜨린다. (곡물, 철광석)
2. 부동산은 금리인상등을 통해 할 수 있으나 그렇게는 하지 않을 것이다.

1. 서비스업의 회복 → (서비스업은 평균임금이 낮다) 저소득층의 회복 → 평균임금의 상승
2. 많은 국가에서 취업장려 지원금이 나올 것

임금이 올라도 자산 상승폭이 더 크면 상대적 가난함을 느끼게 된다.

그렇다면 부동산이나 자산하락을 시키면 되지 않느냐?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왜? : 국가는 부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자산버블현상 = 부채버블현상)
국가는 인플레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부채비율을 줄이는 것이다. 자산가격이 상승하면 부채를 더 끌어다 쓸 수 있다.
부채가 늘어야 곧 부양책을 쓸 수 있다.
→ 고로 인플레를 방치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치료법이 된다.

정부에 대한 불만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심리적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결론 : 자산을 확보하자
5. 원자재의 투자법
무엇이 있느냐?
나의 숙제

중국경기가 좋으면서, 환율이 낮은 상태

이들이 가격이 오르면?
물가상승또한 빠르게 상승할 것이다

유가가 너무 오르면, 셰일가스 업체들은 다시 채굴을 시작할 것이다. 채굴을 시작하기 전에도 관련주식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있다. 

이런한 업종이 어떻게 흐르는지 잘 지켜본다!

해야 할 일

1. 곡물 / 원유 / 시멘트 관련 종목을 찾아본다.
2. 그것들이 오를 조건을 충족했는지 알아본다. 
- 중국 경기가 좋으면서
- 환율이 낮을 때
3. 올라탄다. 탈출 시점을 생각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